아름다운 제주의 삼무정신과 만나다
제주국학원은 단군의 개천정신과 홍익인간 정신을 오늘에 되살리고 ‘평화의 섬’ 제주의 정신문화적 뿌리를 찾고자 제주시 애월읍 어음리에 ‘제주역사문화공원’을 조성했다. 지난 4월 착공한 공원이 단기 4342년 개천절을 기념해 10월 11일에 문을 열었다.
제주도민의 정성어린 성금으로 공사를 진행한 ‘도민 참여형 공원’이라는 점에서 더욱 뜻깊다. 제주역사문화공원 건립추진위원회(위원장 조문부 전 제주대학 총장)에는 김우남 강창일 김재윤 등 국회의원과 제주특별자치도의 정계 재계 학계 인사들이 참여했다. 약 1만㎡ 부지에 조성된 제주한민족 역사공원을 가보자.
![]() |
||
▲ 지난 10월 11일 제주역사문화공원은 한민족의 천지인 홍익정신에서 시작한 제주의 삼무정신을 담아 개원했다. 한라산을 배경으로 우뚝 선 높이 15m 단군왕검상 |
![]() |
||
▲ 현무암에 새긴 3세 가륵단군과 가림토 문자 |
![]() |
||
▲ 올레 길을 형상화 한 브레인 가든 입구 |
제주는 모든 생명을 신격화하여 존중하고 너와 내가 함께 돕는 공동체 문화인 삼무, 수눌음 정신이 살아있는 곳이다. 도둑, 거지, 대문이 없다는 삼무(三無)정신과 함께 일하고 함께 나누고 소통하는 수눌음 문화는 단군조선의 건국정신인 홍익철학이 생활 속에 구체화된 모습이라 할 것이다. 그래서 제주역사문화공원은 하늘과 땅과 사람이 모두 존중받고 이롭게 하는 천지인, 홍익정신에서 시작된 제주의 정신을 주제로 4가지 마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는 ‘단군 동산’으로 한라산을 배경으로 선 15m 높이의 국조 단군왕검 입상과 고조선 시대 단군 46인(2대 단군 부루~47대 단군 고열가)의 치적을 담은 기념상이 함께 자리하고 있다. 국조 단군왕검은 흰색 도포에 젊은 시절의 모습으로, 흰색이 제주의 아름다운 자연과 잘 어울린다는 평을 받고 있다. 제주대학 미대 교수와 강사 조각가 4인이 현무암에 새긴 46명의 단군기념상도 치적을 상징적으로 단순화하여 해학적인 모습이 방문객의 눈길을 끈다.
단군 동산, 역사마당, 브레인 가든, 지구평화 마당 등 4개의 테마 존으로 구성
두 번째는 ‘역사마당’으로 동명성왕, 광개토태왕, 김구 선생, 최치원 등 한민족 고유의 선도수련을 통해 깨달음을 얻고, 우리 민족의 영광과 국난극복의 역사를 주도했던 위인들의 상이 서 있다.
세 번째는 인간의 뇌를 모티브로 만든 ‘브레인 가든(Brain Garden)’이다. 제주의 올레 길과 돌담, 폭포와 자연동굴로 구성되어 명상할 수 있도록 조성된 정원이다.
마지막 네 번째는 지구를 중심으로 세계의 성인들과 인류의 미래인 어린이들이 노는 모습으로 구성된 ‘지구평화 마당’이다.
또한 제주정신의 상징이자 한민족 선도문화의 뿌리인 삼무정신을 기리는 의미로 한라산을 형상화한‘삼무기념탑’ 이 세워졌다. 환웅에서 단군으로 이어지는 고조선의 역사를 만날 수 있는 ‘국학전시관’과 국학과 더불어 세계 평화철학으로 성장하고 있는 제주의 삼무정신을 중심으로 한 ‘삼무관’ 등 전시관도 있어 우리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자긍심을 고취하는 역사교육의 현장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주변에는 제주국학원 회원들이 쌓은 공든탑과 방사탑이 세워졌으며, 3년 정도 키운 무궁화 200그루가 심어져 있다. 또한 실내와 야외에서 전통의 국궁을 체험하는 신시국궁장도 있다.
김정숙 제주국학원장은 “제주역사문화공원은 천혜의 자연경관을 가진 제주에서 우리 역사와 문화의 토대가 된 홍익철학을 만날 수 있는 공간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민족혼을 일깨우고 세계 평화정신으로 성장하는 제주의 삼무정신을 느낄 수 있는 명소로 발전시킬 것”이라며 “하늘과 땅을 존중하고 사람들이 서로 돕고 살았던 제주의 정신을 되찾고 그 안에 살아 숨 쉬는 진정한 평화를 세계에 전하는 것이 바로 제주역사문화공원의 비전”이라고 밝혔다.
조성된 제주역사문화 공원은 단순히 보고 즐기는 관광지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우리 선조가 갈고 닦은 선도문화를 체험하는 공간으로써 우리 정신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고취하고 홍익철학을 바탕으로 형성된 제주의 삼무정신과 공동체 문화를 세계화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09년 10월 01일 (목) 00:20:09 | 박민수 기자 ![]() |